심근세포 수축력 관련 선도물질 발굴
-
Dobutamine과 JSH2236의 심근수축력 비교
-
Dobutamin과 JSH2236의 강심작용 비교
JSH2236 투여 후 혈압은 증가, 심박수 및 좌심실 이완기말압은 변화가 없었음. 정상 백서와는 달리 JSH2236 투여 후 수축력과 이완력 모두 증가함. JSH 화합물은 dobutamine에 비해 좌심실 수축기 및 이완기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킴
Murrayafoline 계열 후보물질의 심부전 개선 효과
Murrayafoline 화합물(Ca-CSJ-77)은 심부전 동물모델에서 좌심실의 수축력 증가시키고 혈액역학을 개선함
동맥경화관련 이중표적 적중약물개발

동맥경화에서 나타나는 혈관평활근세포증식 및 혈소판응집에 의한 혈전생성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물질개발 연구
- 선도물질 EJCa015 발굴
- EJCa015의 혈관평활근세포증식 억제효과 규명
- EJCa015의 항혈소판작용효과 규명
- 혈전동물모델에서 혈전생성 억제효과 관찰
- 특허등록 10-1497435
천연물-유래 혈관염증 조절물질 발굴
- 만병초 유래 항패혈증 유효물질
- 근거-기반 유효물질 탐색: 만병초로부터 신규 메가스티그매인 배당체 분리
- 혈관염증 조절 및 항패혈증 효능 규명
- HMGB1-매개 혈관 투과성 저해
- 혈관염증 매개인자 조절
- 패혈증 동물모델에서 생존율 개선
- 논문게재: BBA-General Subject (2014)
- 특허출원: 10-2014-0019767
강심제 후보 저분자 화합물 발굴
-
비교 3)Dobutamin과 JSH2236의 비교
-
Ecocardiogram
- JSH-2236 강심효능 물질 발굴 및 기술이전, 범부처 신약개발과제로 후속 연구 진행
- 심실근세포, in vivo 심근증 흰쥐에서 수축력, 이완력을 최대로 증가시킴
- 심박수의 변화 없음
- Isoproterenol (1 agonist) 보다 10배 강력
- JSH-2236은 독성이 없음(최대투여량 2,000 mg/kg)
- 흡수 및 반감기 양호
천연물 유래 강심효능물질 발굴, 신규기전규명
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약물개발

- 하임RG-F정 개발
- Panax ginseng + Angelica gigas + Camellia sinensis + Citrus unshiu 복합제
- 혈소판응집억제를 통한 혈액흐름 개선, 혈관평활근세포증식 억제작용을 통한 동맥경화 개선
- 연구개발: 중점연구소
- 특허출원: 10-2012-0019860
- 하임칼슘 개발
- 구연산칼슘, 매실추출물, 울금추출물, 오갈피나무줄기추출물 함유
- 뼈와 치아 형성에 도움을 주고 골다공증 발생 위험감소에 도움을 줌.
- 연구개발: 중점연구소
- ㈜하임내추럴